1년 매출 20억 인디 개발사가 말해준 '인디게임 생존 노하우'
인디게임개발 시작은 어떻게 하는 걸까요?
인디로 살아남기 힘든 세상입니다.
스팀서 20여억원을 번 트리 오브 라이프의 '오드원게임즈'도 그랫습니다.
개발비는 항상 모자랐고 운영은 혼돈이였죠.
'오드원게임즈'는 5년간 어떻게 살아남았고 또 어떤 것을 배웠을까요?
그들이 말해준 인디게임 생존 노하우 입니다.
정부지원, 벤처캐피털, 소셜(크라우드)펀딩
대부분의 소규모 개발팀은 이 셋으로 자금을 조달합니다.
이 중 처음에 권하는 것은 정부지원입니다.
벤처캐피털은 개발에 간섭당할 위험이 있고 소셜펀딩은 많은 준비가 필요합니다.
정부지원은 주로 매년 3~4월, 창업넷(K-스타트업) 사이트에 올라옵니다.
게임은 중소기업청, 한국콘텐츠진흥원이 성공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 중 기업청은 창업 자체나 추가 고용 여부에 가산점을 줍니다.
한국콘텐츠진흥원은 콘텐츠의 질, 해외진출 가능성을 중점적으로 살펴봅니다.
처음엔 중소기업청 지원으로 성장하고 그 후에 한국콘텐츠진흥원에 신청하는 것이 효율적이죠.
소셜 펀딩을 하실 땐 2가지를 기억하면 됩니다.
1. 보여줄 것이 확실해야 한다.
2. 펀딩 전, 충분한 인지도를 쌓아야 한다.
유저들에게 소셜 펀딩은 '구매'입니다.
펀딩하려는 것이 어떤 것인지 확실히 알아야 후원을 하게 됩니다.
그 다음은 인지도 입니다.
펀딩 몇달 전부터 게임 커뮤니티 등에 영상, 개발일지 등을 꾸준히 올리는 게 좋습니다.
홍보도 되고 펀딩 성공률도 크게 올라갑니다.
스팀에선 초기 판매량이 평생을 좌우합니다.
게임 초기 성적이 '노출 위치'를 좌우하고 노출위치가 다시 '판매량'을 좌우하거든요.
일단 섬네일을 절대로 소홀히 하지 마세요!
스팀 시작은 빽빽한 신작 목록 속에 노출됩니다.
여기서 눈에 띄는 것은 섬네일 뿐!
스팀에 게임을 올렸다고 끝이 아닙니다.
SNS나 트위치 등 최대한 알리세요!
성적이 높을수록 좋은 자리에 배치되고 메인에 배치라도 되면 판매량이 3배는 뛰죠~!
참고로 성적의 기준은 판매량입니다.
홍보에 도움이 되지 않는 한 '리딤코드'는 초기에 나누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출시를 하면 항상 예상이상의 문제가 터집니다.
보통은 팀에 일손이 부족해 해결이 늦어지고 유저들의 불만이 커집니다.
당연히 팀이 유저에게 가지는 부담도 커지죠.
여기서 많은 팀들이 함정에 빠집니다.
기준, 추구하는 가치가 가장 중요합니다.
하지만 서비스 경험이 적은 팀은 쏟아지는 문제, 불만에 압도되 자신들의 추구하는 가치를 잊기 쉽습니다.
게임이 추구하는 가치를 잊으면 안됩니다.
설사 유저가 원해 가치를 바꿀일이 있더라도 충분히 고민하고 다른 가치를 정해야 합니다.
기준을 잊고 무작정 남의 말만 따르게 된다면, 유저도 잃고 만들고 싶었던 게임도 잃습니다.
스팀에서 게임을 서비스할 땐 업데이트를 되도록 자주하지마세요.
해외에선 다운로드 자체가 스트레스거든요.
한국만큼 인터넷이 빠른 곳은 드뭅니다.
많은 나라에서는 아직도 패치 때마다 '각 잡고' 다운로드를 기다리죠.
때문에 외국 유저들은 빈도가 뜸하더라도 한꺼번에 많은 것을 추가하길 원합니다.
패치가 잦으면 다운 받느라 시간이 다 가거든요.
또한 이경우, 업데이트가 자연히 대형이 되 주목도가 높아진다는 장점도 있습니다.
그리고 이건 더 많은 '노출'을 만들게 됩니다.
뜸해도 볼륨있는 업데이트가 더 효과적입니다.
초기 개발팀은 가족과 같습니다.
잘 아는 이들끼리 뭉쳤고 또 사람도 적다보니 별 말 없어도 일이 척척 진행되죠.
하지만 팀이 커지면 이게 안됩니다.
사람이 많아져 서로 알기도, 상대가 무슨 일을 얼마나 했는지도 알기 힘들죠.
회의, 일정관리, 근태관리 등등.
가족에서 조직이 되는 순간 정말 많은 것이 필요합니다.
이때부터 인사가 필요해집니다.
정답은 없습니다. 팀의 성향, 규모에 따라 답이 계속 달라지거든요.
팀 초기부터 미래의 모습을 계속 고민하세요..!
그래야 팀이 건강히 자랄 수 있답니다.
출처 : 디스이즈게임
http://www.thisisgame.com/webzine/news/nboard/4/?n=62205
'정보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바일게임으로 코딩공부하기! 가르쳐줘!코딩소녀! (0) | 2016.11.01 |
---|---|
★인벤 컨퍼런스 일정표★ 2016.10.06-10.08 (0) | 2016.10.06 |
국제게임전시회 지스타 2016, 넥슨400부스 최대 규모 참가예정! (0) | 2016.10.05 |
중국 매출만 1조원이라고? 해외에서 더 사랑받는 게임들! (0) | 2016.09.29 |
게임업계 성적표~! 게임회사의 글로벌 시장 동향을 알아보자! (0) | 2015.10.22 |
최근댓글